2024 | 06 | 16
28.3℃
코스피 2,758.42 3.53(0.13%)
코스닥 862.19 9.14(-1.05%)
USD$ 1389.0 11.0
EUR€ 1482.6 2.6
JPY¥ 882.8 5.3
CNY¥ 190.9 1.4
BTC 93,880,000 49,000(-0.05%)
ETH 5,037,000 21,000(0.42%)
XRP 693.7 14.4(2.12%)
BCH 609,500 5,500(0.91%)
EOS 932.3 1.9(0.2%)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뮤’ 의존도 낮춘다”…웹젠, 퍼블리싱·장르 다양화 전략

  • 송고 2024.04.17 14:58 | 수정 2024.04.17 14:59
  • EBN 진명갑 기자 (jiniac@ebn.co.kr)

지난해 ‘뮤’ IP 매출 비중 71% 차지

올해 1Q 350억원 전략적 투자 단행

서브컬처·액션 RPG 등 장르 다양화

웹젠이 자체 개발 중인 서브컬처 게임  ‘테르비스’ [출처=웹젠]

웹젠이 자체 개발 중인 서브컬처 게임 ‘테르비스’ [출처=웹젠]

웹젠이 자사 대표 IP ‘뮤’의 의존도를 낮추고, 실적 개선을 위해 올 1분기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했다. 해당 투자를 바탕으로 퍼블리싱 사업을 강화하고 게임 장르 다양화에 도전한다.


17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웹젠은 지난해 연간 매출액 1962억원, 영업이익 49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로는 각각 18.9%, 39.8% 감소한 부진한 실적이다.


웹젠의 실적 부진은 지난해 상반기 신작 부재와 게임 시장 변화의 영향이 컸다.


웹젠의 주요 매출원은 뮤 IP를 활용한 MMORPG다. 지난해 기준 웹젠 전체 매출 중 71%가 뮤 IP 게임에서 발생했다. 웹젠은 지난해 4분기 ‘뮤 모나크’를 출시해 실적 개선을 이뤘지만, MMORPG 장르에 대한 국내 인기도는 축소되는 모양새다.


이에 웹젠은 장르 다양화를 위해 게임 퍼블리싱 사업으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월에는 하운드13에 300억원, 지난달에는 파나나스튜디오에 5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1분기에만 350억원을 투입한 것이다.


이 투자를 통해 웹젠은 하운드13의 ‘프로젝트D(가칭, 드래곤소드)’ 퍼블리싱 권한을 확보했고, 파나나스튜디오가 개발 중인 ‘프로젝트 세일러’ 우선협상권을 갖게 됐다. 프로젝트 D는 액션 RPG, 프로젝트 세일러는 카툰풍의 턴제 RPG 장르다. 개발사 등의 세부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퍼블리싱 신작 ‘프로젝트S’도 올해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또 자체 개발을 통한 장르 다양화도 추진 중이다. 웹젠은 자회사 웹젠노바를 통해 자체 서브컬처 게임 ‘테르비스’도 개발 중이다.


서브컬처 장르는 최근 1~2년 사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국산 서브컬처 장르로는 넥슨의 ‘블루 아카이브’와 시프트업의 ‘승리의 여신 : 니케’가 대표적으로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 높은 매출고를 올리고 있다.


웹젠의 ‘테르비스’는 지난해 ‘지스타 2023’을 통해 공개돼 관람객들의 시연을 통해 호평받았다. ‘테르비스’는 연내 출시 예정이다.


여기에 웹젠은 안정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는 뮤 IP 신작도 염두에 두고 있다.


웹젠은 지난 2월 22일 ‘뮤 모나크2’에 대한 상표권을 출원했다. 지난해 10월 출시된 ‘뮤 모나크’의 후속작으로 예상된다. ‘뮤 모나크’는 지난해 10월 출시돼 국내 구글플레이 매출 상위권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 ‘뮤 모나크’ 흥행으로 웹젠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64% 증가한 706억원을 달성하기도 했다.


‘뮤 모나크’ 서비스가 1년도 채 되지 않은 만큼 ‘뮤 모나크2’는 향후 출시를 위한 선제적 상표권 출원으로 분석된다.


웹젠 관계자도 “뮤 모나크2는 상표권을 출원했으나, 선제적 준비 차원이다”며 “출시와 관련한 사업 계획은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58.42 3.53(0.13)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16 18:11

93,880,000

▼ 49,000 (0.05%)

빗썸

06.16 18:11

93,802,000

▼ 15,000 (0.02%)

코빗

06.16 18:11

93,889,000

▲ 69,000 (0.0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