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9 | 29
23.3℃
코스피 2,649.78 21.79(-0.82%)
코스닥 774.49 4.69(-0.6%)
USD$ 1,329.7 1.3
EUR€ 1,486.0 7.3
JPY¥ 917.3 -0.7
CNH¥ 189.4 -0.1
BTC 86,379,000 611,000(-0.7%)
ETH 3,518,000 50,000(-1.4%)
XRP 816.1 41.3(5.33%)
BCH 462,950 12,400(-2.61%)
EOS 703.8 12.7(-1.7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제살 깎아먹기?…편의점업계 ‘PB 전진배치’ 딜레마

  • 송고 2024.01.26 04:00 | 수정 2024.01.26 04:00
  • EBN 이재아 기자 (leejaea555@ebn.co.kr)

주요 편의점사 올해도 ‘초저가’ PB 확대 기조 지속

고물가 반사이익에도 생산자물가 올라 할인율 유지 부담↑

정부 압박, 협력사 위탁제조 얽혀 가격 조율 쉽지 않아

편의점업계가 ‘초저가’ 자체브랜드(PB) 확대를 두고 딜레마에 봉착했다. [제공=픽사베이]

편의점업계가 ‘초저가’ 자체브랜드(PB) 확대를 두고 딜레마에 봉착했다. [제공=픽사베이]

편의점업계가 ‘초저가’ 자체브랜드(PB) 상품 확대를 두고 딜레마에 봉착했다. 고물가 시대에 소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주요 편의점 기업들은 올해도 가성비를 앞세운 초저가 PB 상품 확대를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하지만 줄줄이 오른 원재료값에 높은 할인율 유지가 ‘제살 깎아먹기’로 돌아올 우려가 커졌다.


2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편의점사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생활필수품 할인, PB상품군 강화 등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마케팅 전략을 강화한다. PB 브랜드 중에서도 전진 배치되는 것은 단연 ‘초저가’ 상품들이다. 고물가·고금리로 소비자들의 구매 여력이 줄고 소비 양극화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통상 초저가 PB상품의 마진은 일반 PB상품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자체 마진을 깎아 가격을 더 낮춘 만큼 일반 상품보다 수요가 많고, 편의점들은 박리다매 전략으로 매출을 올려왔다.


문제는 지난 연말을 기점으로 생산자물가가 3개월 만에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23일 발표한 ‘2023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농산물 가격은 전월보다 전월 대비 9.3%, 수산물은 4.6%, 음식료품은 0.1% 각각 뛰었다.


이처럼 원재료값이 계속 상승하면 마진을 낮춰 PB상품의 최저가를 유지하는 방식에는 한계가 발생한다. 더군다나 앞서 오른 설탕 등 원재료 인상분이 3~4개월 뒤 국내 수입가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현재의 마진율 마저도 유지하기 힘들어질 수 있다.


이제 와서 ‘최저가’를 앞세운 PB상품 가격대를 무턱대고 올릴 수도 없다. 식품·유통사를 겨냥한 정부의 물가 안정 압박이 계속되고 있는 데다, PB상품 개발에는 여러 협력사들과의 계약도 걸려 있어서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여러 PB상품들은 협력사에 위탁해 제조되며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를 하도급 관계로 간주한다. 협력사들이 납품 단가 인상을 요구했을 때 이를 무작정 거절할 경우 갑질 이슈가 불거질 우려도 있다. 결국 초저가를 유지하기 위해선 편의점사가 감내하는 손실분이 커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상황은 최근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편의점 업계에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편의점 운영 기업들은 업계 내 고질적인 고민거리로 꼽히는 과출점 이슈로 인해 점포간 경쟁 심화, 고객 분산 등 고민을 안고 있으며 점포당 수익성 역시 하락세를 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CU’ 운영사인 BGF리테일은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8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뒷걸음질한 성적을 냈다. 매출액은 2조20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했지만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같은 기간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1.4% 감소한 55억원에 그쳤고, 매출은 소폭 감소한 1조510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마트24의 경우 매출액 59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지만 31억원의 영업손실로 적자를 냈다.


‘GS25’ 운영사 GS리테일만 유일하게 편의점 사업부에서 선방했다. 지난해 3분기 매출은 2조22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7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PB 브랜드 중에서도 초저가를 앞세운 상품들이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부분이 분명 있지만, 생산 단계에서는 가격 유지에 대한 부담 때문에 일반 상품보다 원재료값 등락에 더 민감할 수 있다”며 “런치플레이션 때문에 편의점 업계 PB상품들이 반사이익을 얻어 왔으나, 고물가 이전에 원재료값 인상이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물가 지속 현상을 마냥 반기며 대책 없이 상품을 찍어낼 수는 없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49.78 21.79(-0.8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9.29 05:14

86,379,000

▼ 611,000 (0.7%)

빗썸

09.29 05:14

86,395,000

▼ 573,000 (0.66%)

코빗

09.29 05:14

86,426,000

▼ 537,000 (0.6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