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6 | 03
27.9℃
코스피 2,682.52 46.0(1.74%)
코스닥 844.72 4.74(0.56%)
USD$ 1378.5 -6.5
EUR€ 1493.8 -8.8
JPY¥ 877.4 -3.2
CNY¥ 189.9 -0.8
BTC 96,119,000 1,209,000(1.27%)
ETH 5,315,000 1,000(0.02%)
XRP 725.4 0.4(0.06%)
BCH 648,200 200(0.03%)
EOS 1,143 7(0.62%)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뉴욕증시, 우크라 긴장감에 연일 하락…다우, 1.38% ↓

  • 송고 2022.02.24 08:47 | 수정 2022.02.24 08:52
  • EBN 김채린 기자 (zmf007@ebn.co.kr)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게티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게티

뉴욕증시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전운 긴장감에 연일 하락했다.


2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464.85포인트(1.38%) 하락한 3만3131.76으로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79.26포인트(1.84%) 떨어진 4225.50, 나스닥 지수는 344.03p(2.57%) 밀린 1만3037.49로 마쳤다.


최근 다우지수는 1월 기록한 고점 대비 10.34% 하락하면서 조정 영역에 진입했다.

S&P500지수는 고점 대비 10% 하락했다. 이에 기술적 '조정' 영역에 진입하자 저가 매수 흐름도 나왔으나 반등은 오래가지 못했다. S&P500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했고,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5거래일간 떨어졌다.


나스닥지수는 고점 대비 19.58% 하락해 약세장(20%↓) 진입을 코앞에 뒀다.


이날 우크라이나 의회, 내각, 외무부 등 각 국가 기관과 은행들이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는 소식도 나와 시장의 불안을 키웠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러시아에 대한 각종 제재를 단행했지만 이러한 제재가 일촉즉발의 위기를 막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투자자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와의 전면전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친러 분리주의 공화국들이 장악한 동부 돈바스 지역을 제외한 전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기로 했고, 우크라이나 당국은 예비군 징집에 나서는 등 전면전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미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15만 명 이상의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접한 러시아, 벨라루스 접경지대에 배치돼 있다며 이들의 80% 진격 태세를 갖췄다고 분석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주재 자국 대사관의 철수를 시작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체류하는 자국민에게 러시아를 즉각 떠날 것을 권고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82.52 46.0(1.74)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6.03 17:54

96,119,000

▲ 1,209,000 (1.27%)

빗썸

06.03 17:54

96,198,000

▲ 1,408,000 (1.49%)

코빗

06.03 17:54

96,178,000

▲ 1,346,000 (1.42%)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