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3 | 29
10.1℃
코스피 2,749.20 3.38(0.12%)
코스닥 906.79 3.26(-0.36%)
USD$ 1346.0 -5.0
EUR€ 1450.6 -7.0
JPY¥ 889.7 -2.8
CNY¥ 185.5 -0.6
BTC 100,075,000 175,000(0.18%)
ETH 5,066,000 27,000(0.54%)
XRP 882.5 5.7(0.65%)
BCH 816,900 39,800(5.12%)
EOS 1,613 106(7.03%)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대출은 연초 노려라?..."이젠 옛말"

  • 송고 2021.12.07 10:56 | 수정 2021.12.07 11:01
  • EBN 문은혜 기자 (mooneh@ebn.co.kr)

금융당국 내년 대출 모니터링 타이트할 전망

통상 연초에 돈 푸는 은행도 눈치보기 나설 듯


올해 제외됐던 전세대출이 내년부터는 총량관리에 다시 포함되면서 은행들의 대출 여력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서울 시중은행의 개인대출 창구 모습. 본문과 무관. ⓒ연합

올해 제외됐던 전세대출이 내년부터는 총량관리에 다시 포함되면서 은행들의 대출 여력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서울 시중은행의 개인대출 창구 모습. 본문과 무관. ⓒ연합

은행들이 자금을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연말보다 회계연도가 바뀌는 연초가 대출을 받기 수월하다는 통념이 내년에는 적용되기 어려워 보인다. 금융당국의 강화된 대출규제에 시중은행들이 연초부터 대출 총량관리 모드로 들어설 조짐이다.


더군다나 금융당국은 최근 발생한 대출중단과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은행들도 연초부터 타이트한 대출 관리에 나설 수밖에 없다.


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은 지난달 26일 금융감독원에 내년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 목표로 4.5~5%를 써냈다.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은행들은 4.5%에 맞춰 내년 목표를 세웠고 올해 증가율이 높지 않은 일부 은행은 약 5%의 목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올해 목표치였던 5~6%대보다 낮은 수치라 내년에도 대출 한파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은 내년 대출총량 한도를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벌어진 대출중단 사태를 막기 위해 은행에 대한 모니터링은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때문에 통상 연초에 대출잔액에 여유가 생기는 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낮춰왔던 관행이 내년에는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12월 말 대비 올해 11월 말 현재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국민은행 5.43% △신한은행 6.30% △하나은행 4.70% △우리은행 5.40% △NH농협은행 7.10% 수준이다. 은행들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 실적은 내년 대출총량 한도에 영향을 준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금도 대출이 중단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말 연초라고 해서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대출 규제가 내년에 더 강화되는 만큼 수요자 입장에서는 심리적으로 내년이 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올해와 비슷하게 내년에도 당국에서 지속적으로 총량을 관리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내년에는 대출중단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연초부터 타이트하게 관리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융당국은 은행들에 증가율 목표치와 가계대출 관리 계획을 제출받으면서 '분기별 공급계획'을 세워달라고 요구했다. 대출 상황을 더 촘촘하게 관리하겠다는 의도다.


여기에 내년부터는 상환 능력에 따라 대출을 받도록 하는 차주(돈을 빌린 사람) 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규제가 적용된다. 내년 1월부터 총 대출액이 2억원을 넘는 차주는 은행 대출 원금·이자 비율이 연 소득의 40%를 넘으면 안 된다.


또 올해 제외됐던 전세대출이 내년부터 총량관리에 다시 포함되면서 은행들의 대출 여력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올해의 경우 4분기 신규 전세대출을 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국민은행 4.35% △신한은행 4.10% △하나은행 3.90% △우리은행 3.80% △농협은행 6.90% 등으로 농협을 제외하면 5% 안쪽으로 관리됐다. 하지만 전세대출을 포함한 증가율은 모두 5%를 넘어섰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들이 올해 학습효과로 인해 연초부터 대출 관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전세대출까지 총량에 포함되면 아무래도 관리가 더 타이트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749.20 3.38(0.12)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3.29 14:29

100,075,000

▲ 175,000 (0.18%)

빗썸

03.29 14:29

100,051,000

▲ 369,000 (0.37%)

코빗

03.29 14:29

100,016,000

▲ 253,000 (0.25%)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