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04 | 19
8.8℃
코스피 2,634.70 50.52(1.95%)
코스닥 855.65 22.62(2.72%)
USD$ 1380.0 -3.0
EUR€ 1469.0 -6.9
JPY¥ 892.5 -3.5
CNY¥ 190.4 -0.6
BTC 93,343,000 1,199,000(1.3%)
ETH 4,511,000 17,000(0.38%)
XRP 740 2(-0.27%)
BCH 714,200 13,400(1.91%)
EOS 1,124 25(2.27%)
  • 공유

  • 인쇄

  • 텍스트 축소
  • 확대
  • url
    복사

가뜩이나 어려운 레미콘업계, 운송비 부담 겹악재

  • 송고 2020.07.09 10:09 | 수정 2020.07.09 10:09
  • EBN 이혜미 기자 (ashley@ebn.co.kr)

전운연 운송비 인상요구에 9% 인상 합의

출하량 줄고 고객사 건설업계와는 납품가 인상 난항

건설 공사 현장으로 레미콘 믹서 차량들이 진입하고 있다. ⓒEBN

건설 공사 현장으로 레미콘 믹서 차량들이 진입하고 있다. ⓒEBN

레미콘업계가 겹악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가뜩이나 건설 경기 위축으로 레미콘 출하량 감소했는데 원가 부담요소인 운송비까지 올라 수익성 악화를 걱정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사들은 최근 운송사업자인 전국레미콘운송총연합(전운연)과 수도권 운반비 9%(1회 운송당 4500원) 인상을 합의했다.


앞서 지난 1일부터 전운연측은 수도권 레미콘업체에 운송비 15%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당시 수도권 지역 제조사의 가동 중단율이 70% 가까이 달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정상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레미콘업계는 일단 출하 차질로 인한 수도권의 공사 대란을 막기 위해 예년보다 높은 인상률에 합의했지만 깊은 한숨이다.


한국레미콘공업협회에 따르면 레미콘 출하량은 최근 3년간 꾸준히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2017년 대비 2019년 출하량은 15% 이상 감소했다. 올해도 지난해 대비 10% 가량 물량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수년째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판매 및 출하량이 줄다보니 수도권 내 205개 레미콘 공장가동률은 31%에 불과한 수준이다.


레미콘사들로서는 판매량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원가 부담마저 늘어 이중고를 겪게 된다.


이제 레미콘업계는 '갑'인 건설사들과의 납품단가 협상이 남았다. 원가 상승요인이 발생한 만큼 이를 레미콘 단가에 반영해야 하지만 이마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건설사들 역시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주요 재료비인 레미콘 비용에 민감한 상황이다. 건자회 등 건설업계는 시멘트·골재 등 원자재 가격의 인하를 들어 동결 입장을 내고 있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운송비는 직접적인 원가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가 인상을 통한 보전이 필요하다"면서 "부진한 건설 시황을 반영해 2018년 이후 줄곧 단가를 동결해온 만큼 이번엔 원가구조를 반영해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황

코스피

코스닥

환율

KOSPI 2,634.70 50.52(1.95)

코인시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시세제공

업비트

04.19 07:53

93,343,000

▲ 1,199,000 (1.3%)

빗썸

04.19 07:53

93,174,000

▲ 1,217,000 (1.32%)

코빗

04.19 07:53

93,168,000

▲ 1,168,000 (1.27%)

등락률 : 24시간 기준 (단위: 원)

서울미디어홀딩스

패밀리미디어 실시간 뉴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